경제 스토리/투자와 금융

2030 세대는 왜 금 투자에 몰리는가?

경제153 2025. 5. 6. 17:00
반응형

 

최근 몇 년 사이, 2030 세대금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사실은 금융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입니다. ‘부동산은 너무 비싸고, 주식은 불안정하다’는 현실 속에서 젊은 세대는 안정성과 가치 보존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금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과연 2030 세대는 왜 금에 몰리고 있을까요?


부동산 진입 장벽과 금의 매력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2억 원을 돌파한 현재, 2030 세대에게 부동산은 현실적인 자산 축적 수단이 되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는 금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1g 단위로도 거래 가능한 금은, 투자 진입 장벽이 낮아 사회 초년생이나 자산이 많지 않은 젊은 층에게 이상적인 자산이 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 시대, 금은 ‘가치의 보루’

팬데믹 이후 유례없는 유동성 공급과 물가 상승은 금 투자에 대한 수요를 촉진했습니다. 금은 역사적으로 인플레이션 해지(hedge) 역할을 해왔습니다. 화폐가치가 떨어질수록 금의 실질 가치는 유지되거나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경기 불확실성이 클수록 더욱 빛을 발합니다.


디지털 금 투자 플랫폼의 등장

기존에는 금 투자가 어렵고 복잡하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토스, 카카오페이, 한국거래소 금시장(KRX 금시장)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쉽게 금을 거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KRX 금시장은 **세금 혜택(부가세 면제, 양도세 없음)**이 있어 투자 매력도가 큽니다.

또한, 금 실물 보관 걱정 없이 거래할 수 있는 금 ETF나 ETN, 금 펀드 역시 2030 세대에게 편리한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장기 투자 목적이나 분산 투자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스마트한 포트폴리오 전략

2030 세대는 정보 접근성과 분석 능력이 뛰어나며, 투자 트렌드에 민감합니다. SNS, 유튜브, 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에서 정보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투자합니다. 금 투자는 안정성, 분산 투자, 글로벌 시장 연계라는 장점을 통해 이들의 포트폴리오에 꼭 들어가는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30 세대의 금 투자 방식은?

2030 세대가 선호하는 금 투자 방식은 다양합니다:

  • KRX 금시장: 실물 금과 동일한 금을 거래할 수 있으며, 세금 혜택이 있습니다.
  • 금 ETF/ETN: 실물 금과 연동된 금융 상품으로, 편리하고 분산 투자에 용이합니다.
  • 모바일 앱을 통한 소액 금 구매: 예를 들어, 토스에서는 1천 원 단위로 금을 살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 골드바 실물 구매: 금은방이나 은행 등을 통한 실물 자산 확보도 일부 젊은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결론: 금은 2030 세대의 새로운 안전 자산

불안정한 세계 경제, 고물가, 고금리 시대에 2030 세대는 단순한 ‘투기’가 아닌 합리적이고 전략적인 투자 수단으로 금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금이다’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을 만큼, 금은 이들의 금융 포트폴리오에서 핵심 자산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금은 단기 수익보다는 위험 회피와 자산 보호 측면에서 그 가치를 유지할 것이며, 2030 세대의 금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반응형